모두의 연구소 풀잎스쿨 10기에서 스터디 두개를 참여하고 있다. 하나는 '일주일에 5문제', 다른 하나는 '파이썬 어디까지 써봐썬'이다. 새 회사로 가야하는데 코딩테스트에서 번번히 죽을 쑤고 있어서 (...) 강제로라도 문제를 풀기 위해서 참여하게 되었다. 스터디는 leetcode에서 코딩테스트에서 빈번하게 출제된 문제 위주로 풀고 서로 풀이를 공유하는 방식이다. 어제 첫 모임을 다녀왔는데 다 못 풀고 가는 바람에 내가 못해서 눈치보이지 않을까 걱정했는데, 걱정이 무색하게 다들 친절하셔서 마음이 놓였다. 첫 주의 주제는 배열 관련이었다. - problem set: https://leetcode.com/list/xuahk4h6/ Favorite - LeetCode Level up your coding sk..
여느 때처럼 페이스북을 쭉 훑다가 길벗출판사 페이지에서 개발자 리뷰어를 모집하길래 신청해봤고 운좋게도 당첨이 되었다. 내가 신청했던 책은 ‘다시 미분 적분’이다. 요즘 edwith에서 MIT 알고리즘 강의를 듣는데 여기서 가장 큰 난관이 수학(...)이었다. 수학을 할 일이 없다보니 거의 기억을 잃었는데 강의에서 교수님이 적당히 계산을 생략하고 넘어갈 때마다(제일 싫어하는 말: 이런건 당연합니다 & 굳이 설명하지 않겠습니다) 수학을 다시 해야겠다고 생각했는데 마침 이런 좋은 기회가 생겼다. 이 책은 책 서장에서 언급했다시피 극한부터 시작해 미분, 적분까지의 개념을 고등학교 수준에서 설명하는 책이다. 이 과정에서 종종 다른 부분도 다룬다. 각 챕터마다 앞부분에서 이번 챕터의 목표를 제시하고, 이전의 개념에..
랜덤프로세스 - 나올 결과의 종류는 예상할 수 있지만, 정확히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알 수 없다. 주사위 던지기, 동전 던지기 등의 예시가 있다. 확률 P(A) = 사건A의 발생확률. 항상 0과 1사이의 값을 지닌다. 정의 : 상대빈도. 무작위 프로세스를 무한대로 관찰시 결과가 발생하는 시간의 비율 큰 수의 법칙 더 많은 관찰이 수집될 수록 특정 결과와 일치하는 확률이 해당 결과의 확률로 수집된다. 배반사건(disjoint) : 두 사건이 동시에 벌어질 수 없을 때 두 사건을 서로의 배반사건이라고 말한다. 즉 두사건의 교집합은 존재하지 않는다. 예를 들어 동전을 던질 때 양면이 동시에 나올 수는 없다. 독립사건(dependent) : 한 사건의 결과를 알고 있는 것이 다른 사건의 결과를 예측하는 데에 쓸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아토믹코틀린
- 파고다강남후기
- 동남아
- 혼자공부하는얄팍한코딩지식
- BookDiscussion
- 그래프QL인액션
- 해외여행
- 리액트와함께장고시작하기
- Docker
- 싱가폴여행
- Singapore
- 파고다후기
- 다시미분적분
- udemy
- 싱가포르
- 싱가폴
- 나는리뷰어다
- askcompany
- 한빛미디어
- SRE를위한시스템설계와구축
- django
- 길벗출판사
- 개발자리뷰어
- SQL기초구문
- 머신러닝파워드애플리케이션
- Python
- 나는리뷰어다2022
- 파고다갓생후기챌린지
- 유데미강의
- 한빛출판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